KakaoTalk_Photo_2024-01-23-11-18-57(0001).jpeg
Hybrid 복합악취 저감장치

약.액 세정 및 광촉매를 이용한 상업화 기술


‌‌기술 보기
‌‌
KakaoTalk_Photo_2024-01-23-11-16-40_005.jpeg
TOC 저감설비 기술

CODMn에서 TOC로 전환

기술보기
‌‌


약.액 세정 및 광촉매를 이용한 상업화 기술
폐수처리장_탈수기.png
용도 – 
① 고농도 복합악취 저감장치용(폐수처리장 탈수기 및 건조기)
② 고농도 암모니아 저감장치용(폐기물 매립장 폐수처리장)
③ 도축장 폐수처리장 복합악취 저감장치용
④ 음식처리장 복합악취 저감장치용
⑤ 퇴비공장 복합악취 저감장치용


‌‌‌‌‌‌‌‌‌‌‌다운로드
‌‌      














폐수처리장 탈수기 배출 악취(H2S) 탈취기▶︎
탈취 이론(1)
복합악취의 구성

복합악취를 구성하는 주성분은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르캅탑, 아민, 알데하이드 등으로 
대표하는 물질들로 구성되며, 특히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는 극성이 강한 물질로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약.액 세정탑에서의 황화수소, 암모니아의 분해반응

① 황화수소(H2S) 용해도 ; 3.5g/ℓ (at 25℃)
용해된 황화수소의 대표적인 분해반응 메커니즘
H2S + H2O + NaOCl  → NaCl + 2H2O + S
H2S + 2NaOCl + H2O → Na2S + 2HCl + O2↑(세정탑 출구에 특유의 염산 냄새)
 
 ② 암모니아(NH3) 용해도 ; 380g/ℓ (at 20℃)
 NH3 + H2O + NaOCl  → NH4Cl↓ + NaOH↓(세정탑 출구에 약간의 고추가루 냄새)
2NH3 + 3NaOCl  → 3NaCl↓ + 3H2O + N2↑
탈취 이론(2)
​​​​광촉매 반응 도식도

광촉매_증식도.png


광촉매의 반응 원리

식물의 엽록소는 빛을 받으면 광합성 작용으로 유기물이 합성되며 성장하고, 이와 반대로
광촉매는 빛을 받으면 유기물이 분해를 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를 활용하면 병원균 미생
물, 유기물질, 악취원인 물질 및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 등이 분해된다.
약.액 세정탑에서의 황화수소, 암모니아의 분해반응


광촉매 반응식

복합악취 + 활성산소(O2Θ) + 수산화기(OHΘ) - > 순 물질(질소,황) + H2O(물)
 (산소가 활성산소로 전환됨) (물이 수산화기로 전환됨)


탈취 이론(3)
광촉매 반응시 광원의 선택

광촉매 반응의 광원 파장길이(세기)에 대한 최적 이론값은 
UV(C) 250nm ~ UV(B) 420nm 을 사용하는데 통상적으로는 385nm를 이용함.

이론값을 적용할 경우 빛의 세기가 약한 Black light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의 단독
사용시 반응 효율이 떨어짐.[Lab Test로 확인됨] 
결론 ☞ 실재 적용시 Black light와 Chemical light를 혼합하여 사용함. 


광촉매 원료의 반응효율 검증 방법

광촉매.png
메틸렌블루(염기성 염료):염색 후 탈색이 어려운 물질 

광촉매를 시험관에 넣고 메틸렌블루 수용액을 혼합시킨다. 청색
준비된 광원을 30분 정도 조사하면 메틸렌블루가 분해된다. 무색

Hybrid 복합악취 저감장치의 특성 비교표
Hybrid_복합악취.jpg


당사의 황화수소 저감장치 및 PILOT
부산 해운대 하수처리장 탈수기 배출구 악취저감 장치 (납품 – 2014년 7월)

폐수처리장_탈수기(0001).png
폐수처리장 탈수기 배출 악취(H2S) 탈취기 

당사의_Pilot.png
당사의 Pilot 설비 

 




TOC 저감설비 기술
photo-1615529328331-f8917597711f.jpg
용도 – 
CODMn(Chemical Oxygen Demand)30~60%에서
TOC로 전환(Total Organic Carbon)90% 이상 측정


‌‌‌‌‌‌‌‌‌‌‌다운로드
‌‌      














회사소개

대한민국 정화시스템의 선두주자
그린엔켐을 소개합니다.



프로젝트

풍부한 경험과 기술을 기반으로
완벽한 제품을 만듭니다.



다운로드

고객에게 신뢰를 주는 기업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기업



정부24-02.png
정부24-03.png
정부24-01.png